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타임오프(Time-off) 유급노조 활동시간 제한제란 ?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989
등록일 2019.04.01 추천수

0

타임오프제는 노조전임자에 대한 사용자의 임금지급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되 노사교섭, 산업안전, 고충처리 등 노무관리적 성격이 있는 업무에 한해서 근무시간으로 인정하여 이에 대한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이다.

근무시간으로 인정되는 노조활동에는 근로자 고충처리,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활동, 단체교섭준비 및 체결에 관한 활동 등이 있다.
타임오프제는 2009년말 노사정의 합의에 의해서 도입되었고, 2010년 7월1일부터 시행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근로시간 면제심의위원회가 근로시간면제한도를 결정한다.
이한도를 넘어가는 활동을 할 경우 법적처벌(위반하면 사업주가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 처벌을 받는다)이 가능하다.

2010년 5월1일 근면위는 새롭게 근로시간면제 한도를 결정하였다
이 개정안에 따르면 조합원 49명 이하의 사업장의 경우에는 1,000시간, 99명 이하는 2,000시간이 주어지는 것으로 시작하여 그 동안 보완 수정되어 왔다.

100~199명 : 최대 3,000 시간이내
200~299명 : 최대 4,000 시간이내
300~499명 : 최대 5,000 시간이내
500~999명 : 최대 6,000 시간이내
1,000~2,999명 : 최대 10,000 시간이내
3,000~4,999명 : 최대14,000 시간이내
5,000~9,999명 : 최대 22,000 시간이내
10,000~14,999명 : 최대 28,000 시간이내
15,000~이상       : 최대 36,000 시간이내

조합원규모는 [노동조합및 노동관계조정법] 제24조 제4항의 '사업 또는 사업장의 전체 조합원수를 의미하며 단체협약을 체결한 날 또는 사업자가 동의한 날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85 버스기사가 교통사고를 내면 매달 지급하는 무사고 승무수당을 공제한다는 내용의 근로계약은 무효(2019-6-13 대법원.. 핫 관리자 903 2019.09.23
184 선택적 복지제도에 기초한 복지포인트의 근로기준법상 임금성 및 통상임금성이 문제된 사건(2019-8-22 대법원 전원합.. 핫 관리자 1,078 2019.09.16
183 고용보험법. 남녀고용평등법. 일학습병행법. 제.개정 법률안 국회 본회의 통과. 배우자 출산휴가 현행5일에서 유급10일.. 핫 관리자 1,083 2019.09.02
182 단체협약과 같은 처분문서를 해석할 때 명문의 규정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형 해석할 수 없다.(2018-11-29 대.. 핫 관리자 1,311 2019.08.28
181 회사 입사 채용시에 부모직업 물으면 과태료 최대 500만원 핫 관리자 861 2019.08.26
180 파견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경조사비의 차별적 처우 해당 여부(2017-03-29, 고용차별개선과-811) 핫 관리자 1,140 2019.08.22
179 정당한 연차휴가 신청 후 출근하지 않은 철도 기관사에게 이를 이유로 경고처분한 것은 부당하다.(2019-5030 서울.. 핫 관리자 880 2019.08.21
178 주민자치센터 시설자원봉사자를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사례(2019-05-30, 대법원 선고 2017두.. 핫 관리자 1,079 2019.08.07
177 7월부터 자영업자 프리랜서도 출산급여 받는다. -고용보험 미적용자도 출산휴가급여 지급 , 하반기에 2만5천명 출산여성.. 핫 관리자 1,002 2019.07.08
176 연차휴가가 반려되자 무단결근한 근로자를 사측이 징계한 것은 부당(2019-4-4 서울고법선고 2018누57171 .. 핫 관리자 881 2019.07.04
175 수습기간이 지나서도 계속 업무지시를 받고 근무한 근로자를 오로지 수습평가 경과만을 이유로 해고할 수 있는지 여부 핫 관리자 930 2019.07.02
174 일용근로자 계속근로기간 산정(2013-11-29, 근로복지과-4042) 핫 관리자 1,148 2019.07.01
173 사용자의 안전보호의무 및 안전배려의무 위반에 따른 불법행위책임이 인정되어 업무상 사고로 인한 근로자의 정신적 손해를 .. 핫 관리자 952 2019.06.21
172 포괄임금제와 연장근로(고정OT) 사전합의 유의사항 핫 관리자 1,806 2019.06.14
171 근로자가 자살행위로 인하여 사망한 경우, 업무와 사망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대법원 선고.. 핫 관리자 1,017 2019.06.11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