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중소기업 경영성과급 세액공제 도입 ...최대 50%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1,976
등록일 2018.08.31 추천수

0


♠7월 30일 발표된 '2018년 세법개정안'에 따르면 성과공유제 중소기업에 대한 경영성과급 세제지원 조항이내년부터 조세특례법 안에 신설됨

-이 조항은 '중소기업 특별법'에 따라 성과공유재를 도입한 중소기업에 한정 적용된다.
 성과공유제란, 중소기업 근로자의 임금 또는 복지수준을 높이기 위해 사업주와 근로자가 성과급 지급, 사내근로복지기금 등으로 기업 이익을 공유하는 제도임.

- 앞으로 성과공유제를 도입한 중소기업들은 근로자들에게 지급하는 경영성과급을 10% 세액 공제 받게 됨. 다만 근로자가 임원이거나 총 급여 7000만원 이상인 경우에는 공제가 적용되지 않음.
상시근로자 수가 감소한 중소기업도 공제를  받을 수 없으며 근로소득증대세제와 중복 적용은 될 수 없음.

-또 세제지원 대상이 되는 경영성과급은 중소기업 노사가 영업이익, 매출액 등 경영목표 달성에 따른 성과급 지급을 사전에 서면으로 약정하고 이에 따라 지급하는 성과급이어야 함. 아울러 이러한 요건을 충족한 중소기업의 근로자는 경영성과급에 대한 소득세를 50% 감면받게 됨.

-이번 세법 개정은 36%에 불과한 성과공유제 활용 중소기업 비율(2016년 중소기업연구원 추산)을 높이고 이를 통해 중소기업에 대한 인력 유입을 돕기 위해서 마련됨.

- 정부는 성과공유제 확산 시 기업문화 혁신이 이뤄질 것이며 이에 따라 우수인력유입으로 기업 성장이 촉진되는 선순환 구조가 확립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또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를 축소하는 효과를 내 청년층의 중기 기피현상을 개선할 수 있을것으로도 보고 있음.

-구체적인 성과공유제 유형과 세제지원 대상 경영성과급 범위는 중소기업인력법 시행령(오는 8월 5일까지 입법예고)과 조특법 시행령 개정으로 확정됨.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94 대법원"노조파괴한 창조컨설팅과 발레오전장, 금속노조에 손해배상" 해야 핫 관리자 802 2021.01.08
193 [지방ㆍ행정법원] 대기발령 후 당연 면직, 규정있어도 '해고'...법원 "서면통지 해야" 핫 관리자 1,044 2020.12.28
192 [지방ㆍ행정법원] “사용자 개별교섭 동의, 노조 골라서 할 수 없어”···최초 법원 판결 핫 관리자 1,113 2020.12.02
191 대법원 "주간업무 유사 야간당직근무, 통상근무 연장으로 봐야"(삼성노블카운티 도급 시설관리직 임금소송에서 1.2심 뒤.. 핫 관리자 1,235 2019.12.02
190 대법원 "임금피크제 도입해도 개별근로자 동의 없다면 적용 안돼"(2019년 12월) 핫 관리자 1,136 2019.11.29
189 정규직.계약직 임금인상 적용방식 차이의 차별적 처우 해당 여부? 핫 관리자 1,116 2019.11.15
188 최저임금법 위반을 피하기 위해 소정근로시간을 단축한 임금협정은 무효.(2019.07-24, 대법원선고 2016다20.. 핫 관리자 1,121 2019.11.08
187 대법 "고정성 없는 명절휴가비, 통상임금 아냐" 핫 관리자 1,152 2019.11.04
186 산재신청서 작성 쉬워진다 - 신청서 기재항목 절반으로 대폭 축소- 핫 관리자 954 2019.10.10
185 버스기사가 교통사고를 내면 매달 지급하는 무사고 승무수당을 공제한다는 내용의 근로계약은 무효(2019-6-13 대법원.. 핫 관리자 1,020 2019.09.23
184 선택적 복지제도에 기초한 복지포인트의 근로기준법상 임금성 및 통상임금성이 문제된 사건(2019-8-22 대법원 전원합.. 핫 관리자 1,148 2019.09.16
183 고용보험법. 남녀고용평등법. 일학습병행법. 제.개정 법률안 국회 본회의 통과. 배우자 출산휴가 현행5일에서 유급10일.. 핫 관리자 1,154 2019.09.02
182 단체협약과 같은 처분문서를 해석할 때 명문의 규정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형 해석할 수 없다.(2018-11-29 대.. 핫 관리자 1,401 2019.08.28
181 회사 입사 채용시에 부모직업 물으면 과태료 최대 500만원 핫 관리자 932 2019.08.26
180 파견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경조사비의 차별적 처우 해당 여부(2017-03-29, 고용차별개선과-811) 핫 관리자 1,286 2019.08.22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