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지방ㆍ행정법원] 회사 분할되더니 ‘무급’된 대체휴일...법원 “휴일근무수당 줘야”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307
등록일 2021.10.07 추천수

0


유급이었던 대체휴일을 회사 분할 이후 무급으로 변경했다면 휴일근무수당을 지급해야 한다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분할 전 회사의 근로관계 관행이 분할 이후 회사로 승계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29일 대한법률구조공단에 따르면 대구지법 포항지원 이은희 판사는 김 모 씨 등 31명이 A 사를 상대로 낸 임금 청구 소송에서 원고승소 판결했다.

 
이 판사는 지난달 11일 "상주근무자와 달리 교대근무자에게 대체휴일을 유급휴일로 인정하지 않을 합리적 이유가 있어 보이지 않는다"며 "A 사는 김 씨 등에게 휴일근무수당 등 860만 원을 지급하라"고 판시했다.

 
김 씨 등은 포항제철소 하청업체인 A 사에서 운수하역 업무를 수행했다. A 사의 전신인 B 사는 상주ㆍ교대근무자 구분없이 대체휴일을 유급휴일로 인정했다. A 사는 B 사에서 분할된 이후에도 대체휴일을 유급휴일로 적용했다.
 

A 사는 이후 노조와 교섭을 거쳐 취업규칙과 단체협약을 개정했다. 하역작업을 하는 교대근무자에게만 대체휴일을 무급으로 변경해 적용하기로 한 것이다.

 
김 씨 등은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검찰에 고소했지만 불기소 처분됐다. 검찰은 A 사가 교대근무자에게 대체휴일을 유급으로 인정한 사례가 한차례에 불과해 관행으로 보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취업규칙과 단체협약에 명문 규정이 없다는 점도 근거로 들었다.

 
김 씨 등은 이와 별도로 공단 도움을 받아 A 사를 상대로 임금 청구 소송도 제기했다.

 
이 판사는 "A 사의 취업규칙은 B 사의 취업규칙 규정과 상당부분 유사하게 규정됐고 특히 교대근무자의 유급휴일 규정은 동일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B 사의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에 대체휴일이 교대근무자의 유급휴일에 명시적으로 포함돼 있지는 않지만 교대근무자에게도 대체휴일을 유급휴일로 허용하고 있다"며 "A 사도 B 사로부터 분할된 후 첫 대체휴일에 대해서는 교대근무자도 유급휴일로 처리했다"고 지적했다.
 

또 A 사가 대체휴일을 무급으로 변경하는 과정에서 교대근무자들의 동의를 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유급으로 처리되던 대체휴일을 유급휴일에서 제외하는 것은 근로조건의 불리한 변경"이라며 "이를 종합해 보면 교대근무자에게도 대체휴일이 유급휴일로 정해졌다고 봐야 한다"고 판단했다.
 

법원은 이번 판결을 통해 분할 전 회사의 근로관계 관행이 분할된 회사로 승계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것으로 보인다.


김 씨 등을 대리한 조필재 공단 변호사는 "법원은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에 대해서도 관련 내용을 근로자들이 주지할 수 있도록 충분하게 공고되고 설명돼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고 말했다.

출처 - 월간노동법률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245 [대법원] 대법 “학원강사는 근로자”...임금 안 준 원장 ‘유죄’ 취지 파기환송[대법2022도2188 , 선고일자 .. 관리자 174 2022.06.13
244 [지방ㆍ행정법원] ‘교섭 거부ㆍ탈퇴 종용’ CJ대한통운 대리점...법원 “부당노동행위 인정”[서울행법2019구합797.. 관리자 199 2022.05.18
243 해고가 무효가 되더라도 이미 지급한 해고예고수당은 부당이득이 아니다[대법원2017다16778] 관리자 215 2022.05.13
242 상시근로자 수가 5인 이상이고, 해고한 사실이 있으며, 서면통지하지 않아 절차상 하자가 있어 부당한 해고라고 판정한 .. 관리자 323 2022.05.10
241 [대법원] 대법 “상여금 ‘재직자 조건’ 있어도 일할 지급했다면 통상임금” 관리자 196 2022.05.04
240 [판례속보] 법원 “국민연금공단 내부평가급은 통상임금”...1심 판결 확정 관리자 366 2022.04.25
239 정규직근로자를 합리적인 이유 없이 계약기간 만료로 해고한 것은 부당하다고 판정한 사례[중앙2018부해684] 관리자 219 2022.04.07
238 임금 인하 문제로 근로계약서 작성을 거부한 근로자를 112에 신고를 해 영업장에서 쫓아낸 것은 부당해고[서울행법201.. 관리자 269 2022.04.06
237 구속으로 일정 기간 휴직명령을 받은 후 중간에 보석으로 석방된 근로자에 대한 복직 신청 거부의 정당성 여부[대법202.. 관리자 197 2022.04.05
236 가전제품ㆍ수리기사도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한다[서울고법2021나2002712] 관리자 201 2022.03.28
235 정기적·계속적으로 지급되고 노동관행에 의하여 지급의무가 인정되는 경영성과급은 평균임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임금[서울.. 관리자 213 2022.03.23
234 [지방ㆍ행정법원] 강성 노조원 대의원 당선 막으려던 한국조선해양 책임자 ‘벌금형’ 관리자 199 2022.03.14
233 근로자에게 불리한 내용으로 변경된 취업규칙은 유리한 근로조건을 정한 기존의 개별 근로계약 부분에 우선하는 효력을 갖.. 관리자 240 2022.03.08
232 [대법원] 수습기간도 퇴직금 정산에 포함된다...‘95년 판결’ 재확인한 대법 관리자 296 2022.03.02
231 [대법원] ‘합의 없을 경우 근로계약 연장’ 조항 있다면?...대법 “문언대로 봐야” 관리자 210 2022.02.24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