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지방ㆍ행정법원] 법원 “회사 대표도 고용됐다면 근로자...업무상 재해 인정해야”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325
등록일 2021.09.24 추천수

0


업무의 일환으로 패러글라이딩 비행 중 추락해 사망한 회사 대표도 근로자로 보고 업무상 재해를 인정해야 한다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사업주에게 고용돼 지휘ㆍ감독을 받았다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볼 수 있다는 판단이다.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제3부(재판장 유환우)는 회사 대표 A 씨 유족이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유족급여ㆍ장의비 부지급 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승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지난달 27일 "A 씨는 회사의 형식적ㆍ명목적 대표자로서 실제로는 사업주인 B 씨에게 고용돼 그 지휘ㆍ감독 아래 일정한 노무를 담당하고 일정한 보수를 지급받아 온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라며 이 같이 판시했다.

A 씨는 2인승 체험비행 자격증 취득을 위해 비행 도중 추락사고로 숨졌다. A 씨와 회사가 체결한 '전문경영인 근로계약서'에는 2인승 체험비행 자격 취득을 위한 비행 연습이 업무 내용으로 명시돼 있다.

유족 측은 공단에 유족급여와 장의비 지급을 청구했다. 하지만 공단은 A 씨가 회사 대표인 만큼 근로자로 볼 수 없고 업무와 무관한 비행자격증을 취득하다 사망한 만큼 업무상 재해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법원은 공단 처분이 위법하다고 봤다. 재판부는 "A 씨는 근로계약서에 기재된 업무 내용을 실제로 모두 수행했고 B 씨가 한 A 씨의 채용 경위, 구체적 근무 일정ㆍ근무내용, 급여 지급방식 등에 관한 진술이 근로계약서와 대체로 부합한다"며 "A 씨와 B 씨가 근로계약서를 실제로 작성하지 않았더라도 근로계약서에 기재된 내용과 같은 합의가 있었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체험비행이 가능한 계절에는 A 씨의 근무시간과 근무장소가 일정하게 고정돼 A 씨가 이에 구속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며 "회사 주식 전부를 실질적으로 B 씨가 보유하고 있고 회사 법인계좌에서 B 씨 휴대폰ㆍIPTV 요금이 지출되는 등 회사는 전적으로 사업주인 B 씨 계산으로 운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A 씨가 근로의 대가로 지급받는 보수 외에 회사 이익이나 손해 등에 관한 부담이 주어지지 않은 점도 근로자성 판단 근거로 제시됐다.

재판부는 "회사 직원들이 A 씨를 '대장님' 또는 '사장님'이라고 부른 사실은 있지만 이는 A 씨가 B 씨의 손윗동서로서 별도로 다른 회사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그러한 사정만으로 A 씨가 회사의 실질적인 대표자나 사장으로 활동했다고 추단하기 어렵고 나아가 A 씨는 고용보험을 제외한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보험에도 가입돼 있었다"고 했다.

또 근로계약서에 2인승 체험비행 자격 취득을 위한 비행 연습이 업무 내용으로 명시돼 있었던 만큼 업무상 재해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A 씨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하고 근로계약에서 정한 업무를 수행하던 중 발생한 사고로 사망했기 때문에 업무상 재해에 해당한다"며 "이와 다른 전제에서 내려진 공단 처분은 위법해 취소돼야 한다"고 판단했다.



출처 - 월간노동법률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245 [대법원] 대법 “학원강사는 근로자”...임금 안 준 원장 ‘유죄’ 취지 파기환송[대법2022도2188 , 선고일자 .. 관리자 174 2022.06.13
244 [지방ㆍ행정법원] ‘교섭 거부ㆍ탈퇴 종용’ CJ대한통운 대리점...법원 “부당노동행위 인정”[서울행법2019구합797.. 관리자 199 2022.05.18
243 해고가 무효가 되더라도 이미 지급한 해고예고수당은 부당이득이 아니다[대법원2017다16778] 관리자 215 2022.05.13
242 상시근로자 수가 5인 이상이고, 해고한 사실이 있으며, 서면통지하지 않아 절차상 하자가 있어 부당한 해고라고 판정한 .. 관리자 323 2022.05.10
241 [대법원] 대법 “상여금 ‘재직자 조건’ 있어도 일할 지급했다면 통상임금” 관리자 196 2022.05.04
240 [판례속보] 법원 “국민연금공단 내부평가급은 통상임금”...1심 판결 확정 관리자 366 2022.04.25
239 정규직근로자를 합리적인 이유 없이 계약기간 만료로 해고한 것은 부당하다고 판정한 사례[중앙2018부해684] 관리자 219 2022.04.07
238 임금 인하 문제로 근로계약서 작성을 거부한 근로자를 112에 신고를 해 영업장에서 쫓아낸 것은 부당해고[서울행법201.. 관리자 269 2022.04.06
237 구속으로 일정 기간 휴직명령을 받은 후 중간에 보석으로 석방된 근로자에 대한 복직 신청 거부의 정당성 여부[대법202.. 관리자 197 2022.04.05
236 가전제품ㆍ수리기사도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한다[서울고법2021나2002712] 관리자 201 2022.03.28
235 정기적·계속적으로 지급되고 노동관행에 의하여 지급의무가 인정되는 경영성과급은 평균임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임금[서울.. 관리자 213 2022.03.23
234 [지방ㆍ행정법원] 강성 노조원 대의원 당선 막으려던 한국조선해양 책임자 ‘벌금형’ 관리자 199 2022.03.14
233 근로자에게 불리한 내용으로 변경된 취업규칙은 유리한 근로조건을 정한 기존의 개별 근로계약 부분에 우선하는 효력을 갖.. 관리자 240 2022.03.08
232 [대법원] 수습기간도 퇴직금 정산에 포함된다...‘95년 판결’ 재확인한 대법 관리자 296 2022.03.02
231 [대법원] ‘합의 없을 경우 근로계약 연장’ 조항 있다면?...대법 “문언대로 봐야” 관리자 210 2022.02.24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