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유성기업 어용노조 설립무효” 대법원 노조파괴 수단으로 복수노조 활용에 ‘제동‘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922
등록일 2021.02.26 추천수

0

 

회사 주도로 설립된 어용노조는 노조로서 자주성이나 주체성 같은 실질적 요건을 갖추지 못해 설립 자체를 무효로 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복수노조 사업장에서 한 노조가 소송을 통해 다른 노조의 설립이 무효라는 확인을 받은 최초의 대법원 판결이다.

 

소송 통해 노조설립 무효라는 확인 구한 최초 판시

 

대법원 3(주심 이동원 대법관)25일 금속노조가 유성기업과 유성기업노조를 상대로 제기한 노조설립 무효확인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재판부는 사용자가 노조의 조직이나 운영을 지배하거나 개입하려는 부당노동행위에 의해 노조가 설립된 것에 불과한 경우 등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상 주체성과 자주성 등 실질적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면 노조로서의 지위를 갖지 않는다고 봐야 한다고 판시했다.

 

원심도 유성기업노조는 회사의 사전계획에 따라 설립되고 운영됐다지회의 세력을 약화시키고 새로운 노조를 설립해 교섭대표노조의 지위를 확보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운영된 유성기업노조는 자주성 및 독립성을 갖추지 못했다고 할 것이어서 노조설립은 무효라고 판단했다.

 

노조를 대리한 김상은 변호사(법률사무소 새날)유성기업 노조탄압에 가장 핵심적 수단이 된 어용노조 설립 자체를 무효로 판단함으로써 부당성을 인정한 것이라며 어용노조 설립 시도 자체가 이번 판결로 제동이 걸릴 것이라고 평가했다.

 

회사 주도의 복수노조 설립은 유성기업 노조파괴의 핵심 수단 중 하나로 지목된다. 20115월 금속노조 유성기업지회가 주간연속 2교대제를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하자 회사는 직장폐쇄로 맞섰다. 이 과정에서 노무법인 창조컨설팅을 통해 자문받은 내용에 따라 회사는 같은해 7월 유성기업노조를 설립했다. 창조컨설팅이 작성한 노사관계 안정화 컨설팅 제안서에는 회사의 대응전략으로 온건·합리적인 2노조 출범이라는 내용과 함께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적시돼 있다.

 

노동자야말로 노조설립 주체라는 것을 다시금 확인

 

노조는 20131월 유성기업과 유성기업노조를 상대로 노조설립 무효확인 소송을 냈다. 노조가 201641심에서 승소한 이후 유성기업에는 3노조가 설립됐다. 법원에서 노조설립 무효 판결을 받자 유성기업노조 간부들이 노조를 유지하려고 유성기업새노조를 설립한 것이다. 김 변호사는 이번 판결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진 않지만 인적 조직이 그대로 승계된 새노조의 정당성 자체는 훼손됐다고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성기업아산·영동지회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어용노조는 임금인상·단체협약 체결 및 시행에서 가이드라인 역할을 했다판결은 무효로 나왔으나 한 회사에 노조가 세 개나 되는 기형적인 노사관계가 형성되고 말았다고 밝혔다.

 

도성대 유성기업아산지회장은 노동자야말로 노조를 만들 수 있는 주체라는 것을 다시금 확인한 판결이라며 끈질기게 싸우니 어떤 방법으로든 밝혀지게 돼 있다. 이번 판결이 다른 복수노조 사업장에 희망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손배가압류를 잡자! 손에 손을 잡고(손잡고)도 이날 유성기업지회는 10년에 걸친 회사의 노조파괴에 맞서는 동안 노조파괴가 범죄행위라는 것과, 기업이 노조파괴 목적으로 설립한 노조는 가짜노조라는 것을 명백히 입증해 냈다고 논평했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254 [대법원]법원 “산재유족 미채용 기간 임금 지급하라” 첫 판결 관리자 213 2022.08.26
253 [대법원] 원청에 설비 관리권을 넘긴 상황에서 폭발 사고로 하청 근로자가 숨졌다면 하청업체도 사업주로서 사고 예방 조.. 관리자 389 2022.08.19
252 [대법원] ‘소확횡’ 제동 건 법원...“목장갑 빼낸 기아 직원 징계 정당” 관리자 264 2022.08.12
251 [지방ㆍ행정법원] 채용청탁, 본인만 모르면 된다?...법원 “부정입사자 해고 부당” 관리자 268 2022.08.03
250 법원의 노동자성 판단 기준 관리자 218 2022.08.03
249 [법원] 법원 “코웨이 코디도 근로자”...중노위 ‘교섭단위 분리’ 결정 유지 관리자 227 2022.08.01
248 [판결] 개별 연봉계약 맺은 근로자도 임금피크제 적용. 대법원 임금소송(2021다263052) 관리자 328 2022.07.21
247 [지방ㆍ행정법원] 직장 내 괴롭힘 피해자 복직 불허한 시설장 ‘벌금형’ 관리자 228 2022.07.20
246 무기계약 전환 근로자의 근로조건과 차별금지 원칙[대법원 2019. 12. 24. 선고 2015다254873 판결] 관리자 365 2022.07.13
245 [대법원] 대법 “학원강사는 근로자”...임금 안 준 원장 ‘유죄’ 취지 파기환송[대법2022도2188 , 선고일자 .. 관리자 291 2022.06.13
244 [지방ㆍ행정법원] ‘교섭 거부ㆍ탈퇴 종용’ CJ대한통운 대리점...법원 “부당노동행위 인정”[서울행법2019구합797.. 관리자 281 2022.05.18
243 해고가 무효가 되더라도 이미 지급한 해고예고수당은 부당이득이 아니다[대법원2017다16778] 관리자 395 2022.05.13
242 상시근로자 수가 5인 이상이고, 해고한 사실이 있으며, 서면통지하지 않아 절차상 하자가 있어 부당한 해고라고 판정한 .. 관리자 418 2022.05.10
241 [대법원] 대법 “상여금 ‘재직자 조건’ 있어도 일할 지급했다면 통상임금” 관리자 319 2022.05.04
240 [판례속보] 법원 “국민연금공단 내부평가급은 통상임금”...1심 판결 확정 핫 관리자 596 2022.04.25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