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4차 산업혁명 시대 상용직 중심 고용보험 한계 뚜렷"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2,645
등록일 2017.07.11 추천수

0


♦ - '모든 종속노동'으로 가입범위 확대 시급... "사각지대는 실업부조로 메워야"

고용보험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도 사회안전망으로 작동하려면 상용직 중심 운용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플렛폼 노동과 크라우드 워크처럼 전통적 노동시장에서 보지 못한 새로운 고용.노동형태가 등장하면서 고용보험이 포괄하지 못하는 취업자와 노동자들이 늘고 있어서다.
고용보험과 공공부조가 포괄하지 못하는 근로빈곤층(워킹푸어)을 보호하기 위해 실업부조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황덕순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고용보험 혁신방향과 과제' 보고서에서 "고용보험이 시행된 후 20여년간 적용대상과 수혜 범위가 늘어난 것은 긍정적"이라면서 최초에 설계된 방식대로 상용직 전일제 근로자 중심 운영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은 한계"라고 지적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노동시장에서 특수고용직이나 프리랜서로 불리는 노동.자영업자를 넘어 플랫폼 노동이나 크라우드 워크 같은 새로운 고용.노동형태가 등장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이 발전할수록 비전형 고용.노동시장이 늘어날 전망이다.

황선임연구위원은 "좁은 의미의 임금근로자를 보호하는 전통적인 패러다임을 유지할 경우 빠르게 늘어나는 새로운 일자리가 사회적 보호 범위에서 배제될 수 밖에 없다"며 피보험자 범위를 확대하고 급여 지급대상을 확대하는 고용보험의 패러다임 전환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말했다.

그는 이를 위해 "명백한 자영업자를 제외한 모든 종속노동을 고용보험 가입 대상으로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수고용직처럼 노동자인지 자영업자인지 애매하다면 다시 말해 명백한 자영업자가 아닌 경우에는 고용보험에 우선 가입하도록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들을 대상으로 고용보험뿐 아니라 산재보험.국민연금.건강보험 등 사회보험료를 일괄 징수해 가입 확대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사회보험료 조세처럼 징수할 수 있도록 징수업무를 국세청에 넘겨야 한다는 주장도 내놓았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04 소정근로시간 관련( 행정해석 : 2015-04-28, 근로기준정책과-1724 ) 핫 관리자 2,711 2017.08.09
103 점심식사 준비를 위하여 식재료를 사러 다녀오다가 입은 사고는 업무상 재해에 해당한다. 핫 관리자 2,667 2017.08.07
102 법원 "친정에 아이 맡기고 출근하다 당한 교통사고는 공무상 재해" 핫 관리자 2,581 2017.07.24
101 정부는 내년에 최저임금 인상 영세업체에 월 12만원씩 3조원 지원 방침 핫 관리자 2,502 2017.07.20
100 직업안정법 시행규칙<시행 2017.6.15>(고용노동부령 제186호)2017년 6.15,일부개정 핫 관리자 2,589 2017.07.19
99 직급체계 변경이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인지 여부(2016-01-17, 근로기준졍책과 - 1319) 핫 관리자 2,874 2017.07.12
98 "4차 산업혁명 시대 상용직 중심 고용보험 한계 뚜렷" 핫 관리자 2,645 2017.07.11
97 중소기업 직장인 51.8% "올해 연봉 동결됐다" - 올해 연봉 희망수준보다 '평균 549만원 낮아' 핫 관리자 2,222 2017.07.04
96 일자리 위원회(대통령 업무 지시 1호) 핫 관리자 2,242 2017.07.03
95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배우자정보서비스업을 영위하는 회사에 근무하는 상담사를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한다고 본 .. 핫 관리자 2,483 2017.06.20
94 손해배상(산) :기계오작동으로 인한 근로자의 상해에 대하여 근로자가 파견된 회사 및 판견사업주 모두에게 손해배상책임을.. 핫 관리자 2,234 2017.06.14
93 근로시간면제한도를 초과하여 지급한 고정연장근로수당과 직책수당은 재배.개입의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사례. 핫 관리자 2,542 2017.06.09
92 부당해고 구제 재심신청(메르세데밴츠코이아 주식회사)중앙2016부해846 핫 관리자 2,613 2017.05.31
91 사직의 의사표시가 유효하게 철회된 상태에서 사직서를 수리한 것은 해고에 해당하고, 정당한 사유 없이 행한 해고는 부당.. 핫 관리자 2,875 2017.05.30
90 무기계약근로자에 대한 계약기간 만료 통보는 해고에 해당하고 그 사유도 정당하지 않아 부당해고라고 판단한 사례 핫 관리자 3,115 2017.05.29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