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비정규직 근로자의 상시 조기출근에 대하여 연장근로수당을 인정한 사례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2,973
등록일 2017.05.18 추천수

0

⟨ 판시사항⟩

- 원고의 주장 : 원고는  피고 운영의 마트에서 제과제빵팀 소속 계약직 근로자로 근무해왔는데, 2012년.7.1.경부터 2014.12.31.까지 근로계약의 근무시간보다 1시간씩 먼저 출근하였다고 주장하면서, 이에 대한 연장근로수당으로서 10,315,047원의 지급을 청구.

- 일부 인용 판결 : 원고가 1시간씩 먼저 출근한 사실을 인정하였으나, 임금채권의 소멸시효(3년)을 고려하여 2013년 2월 이후 부분인 7,915,287원에 대해서만 지급 의무를 인정

제2조(계약기간 및 재계약)

계약기간은 2014.1.1.부터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하는것으로 한다.

제5조(근무시간과 휴게시간)

1)근로자의 근무시간은 09:00~18:00까지 1일 8시간 주 40시간을 원칙으로 한다.

3)업무상 부득이한 겨우에는 제1항과 제2항에도 불구하고 시업시각과 종업시각 및 휴게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4) 사업주(자사무소장 포함)는 필요한 경우에는 시간외근무와 휴일근무를 명할 수 있으며, 근로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에 따라야 한다.

제9조(임금)

1)근로자의 임금은 연간총액임금 23,760,000원으로 하여 규정에 따라 계산하여 지급하며, 특별성과급, 연차휴가보상금, 초과근무수당 및 퇴직금은 연간총액임금에 포함되지 아니한다.
2)임금은 매월 21일(토요일 또는 휴일일때에는 순차적으로 그 전일)에 지급한다.
 
 
(출처: 창원지방법원 김해시법원 2016.10.20. 선고 2016가소 2735 판결)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04 소정근로시간 관련( 행정해석 : 2015-04-28, 근로기준정책과-1724 ) 핫 관리자 2,645 2017.08.09
103 점심식사 준비를 위하여 식재료를 사러 다녀오다가 입은 사고는 업무상 재해에 해당한다. 핫 관리자 2,638 2017.08.07
102 법원 "친정에 아이 맡기고 출근하다 당한 교통사고는 공무상 재해" 핫 관리자 2,547 2017.07.24
101 정부는 내년에 최저임금 인상 영세업체에 월 12만원씩 3조원 지원 방침 핫 관리자 2,467 2017.07.20
100 직업안정법 시행규칙<시행 2017.6.15>(고용노동부령 제186호)2017년 6.15,일부개정 핫 관리자 2,550 2017.07.19
99 직급체계 변경이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인지 여부(2016-01-17, 근로기준졍책과 - 1319) 핫 관리자 2,839 2017.07.12
98 "4차 산업혁명 시대 상용직 중심 고용보험 한계 뚜렷" 핫 관리자 2,605 2017.07.11
97 중소기업 직장인 51.8% "올해 연봉 동결됐다" - 올해 연봉 희망수준보다 '평균 549만원 낮아' 핫 관리자 2,185 2017.07.04
96 일자리 위원회(대통령 업무 지시 1호) 핫 관리자 2,210 2017.07.03
95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배우자정보서비스업을 영위하는 회사에 근무하는 상담사를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한다고 본 .. 핫 관리자 2,450 2017.06.20
94 손해배상(산) :기계오작동으로 인한 근로자의 상해에 대하여 근로자가 파견된 회사 및 판견사업주 모두에게 손해배상책임을.. 핫 관리자 2,198 2017.06.14
93 근로시간면제한도를 초과하여 지급한 고정연장근로수당과 직책수당은 재배.개입의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사례. 핫 관리자 2,489 2017.06.09
92 부당해고 구제 재심신청(메르세데밴츠코이아 주식회사)중앙2016부해846 핫 관리자 2,570 2017.05.31
91 사직의 의사표시가 유효하게 철회된 상태에서 사직서를 수리한 것은 해고에 해당하고, 정당한 사유 없이 행한 해고는 부당.. 핫 관리자 2,834 2017.05.30
90 무기계약근로자에 대한 계약기간 만료 통보는 해고에 해당하고 그 사유도 정당하지 않아 부당해고라고 판단한 사례 핫 관리자 3,051 2017.05.29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