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조합 설립과정에서 해고된 직원들이 있습니다. 해고 이후에도 조합원 신분이 유지되나요.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2,440
등록일 2016.12.15 추천수

0

♦노조법(제2조)은 근로자가 아닌 자의 가입을 허용하는 경우 노동조합으로 보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다만 "해고된 자가 노동위원회에 부당노동행위의 구제신청을 한 경우에는 중앙노동위원회의 재심 판정이 있을 때 까지는 근로자가 아닌 자로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라는 단서를 두고 있습니다.

우선 법에서 사용하는 '근로자' 개념에 대해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근기법은 근로자를 "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자"라고 정의하고 있는 반면 노조법은 " 직업의 종류를 불문하고 임.급료 기타 이에 준하는 수입에 의하여 생활하는 자"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근기법상 근로자와 노조법상 근로자는 개념이 조금 다릅니다.

- 근기법은 헌법 제32조에 따라 국가가 정한 최저의 근로조건을 적용할 대상자를 정해 놓은 것이므로 이때 근로자는 현재 취업중인 것을 요건으로 하게 됩니다.
그런데 노조법은 헌법 제33조에 따라 노동삼권을 보장해 줄 대상자를 정하는 것이므로 현재는 취업 중이 아니더라도 노동삼권을 보장받을  필요가 있는 자는 모두 근로자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실업자나 일시적인 휴직자.해고자.구직자도 노조법상 근로자에 포함되며, 노동조합을 만들거나 노동조합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 해고자는 노동조합에 가입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이 해고자에 대해 일정한 제한을 둔 노조법 규정은 뭔가 앞뒤가 맞지 않는것 같죠 . 그렇습니다 일관성이 없고 문제가 있는 조항입니다. 노동조합을 기업별로만 만들 수 있도록 강제하는 악법이 존재할 때 만들어진 조항이 초기업별 노동조합을 자유롭게 만들 수 있는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위 노조법 조항은 기업별 노동조합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맞습니다
.
- 정리하면 초기업별 노동조합에서는 해고자.구직자 등도 항상 조합원 자격이 있으나, 기업별 노동조합의 경우에는 해고자가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을 해서 중앙노동위원회의 재심판정이 있을 때까지 노조법상 근로자(고소나 소송제기는 제외),노조법상 근로자 신분 (노동조합 사무실 출입, 단체교섭 참여 등 조합원 활동자격)이 유지되더라도 근기법상 근로자 자격까지 인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입니다.(출처 :매일노동뉴스)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19 대법원 아파트경비원 '고무줄 해고' 관행 제동 핫 관리자 2,815 2017.12.04
118 외국인근로자가 기간제법 적용대상인지 여부 핫 관리자 3,027 2017.11.30
117 출산전후휴가기간 최초 60일에 대한 급여 지급 범위( 2015-06-09, 질의회시/여성고용정책과-1644/고용노동부.. 핫 관리자 2,563 2017.11.21
116 2018부터 버스, 자가용, 자전거, 도보출퇴근 사고도 산재(산재보험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핫 admin 2,622 2017.11.06
115 산업재해 은폐 시 형사처벌 핫 관리자 2,336 2017.10.24
114 뉴스에서 이슈가된 통상임금의 해석 핫 관리자 2,375 2017.10.20
113 소음작업장에서 퇴사한 때로부터 훨씬 후에 소음성 난청 진단을 받은 경우 장애급여 신청 가능 여부 핫 관리자 2,396 2017.10.16
112 직원과의 다툼으로 인하여 사망한 경우 업무상 재해 인정 여부.(대법원 2017.4.27. 선고 2016두55919 판.. 핫 관리자 2,237 2017.10.10
111 정부는 2033년까지 정년 65세로 늘린다는... 연내 가이드라인 마련. 핫 관리자 9,687 2017.09.18
110 2017년 9월부터 육아휴직 첫 3개월 월 최대 150만원 지급 핫 관리자 2,316 2017.09.15
109 여러 개의 사업장을 옮겨 다니며 근무한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의 인정 사건 핫 관리자 2,334 2017.09.12
108 매년 11개월의 근로계약을 반복하는 기간제근로자의 퇴직금 지급 여부(퇴직연금복지과- 3814,2015-11-04) 핫 관리자 2,610 2017.09.01
107 사용자의 안전보호의무 및 안전배려의무 위반에 따른 불법행위책임이 인정되므로 업무상재해에 따른 근로자의 정신적 손해를 .. 핫 관리자 3,021 2017.08.30
106 4대 보험 가입기간이 1년 이상만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 핫 관리자 2,536 2017.08.23
105 최저임금에 관련된 이슈 정리 핫 관리자 2,790 2017.08.18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