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파업돌입 이틀만에 회사가 직장폐쇄를 하고 사업장 퇴거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적법한 행위인가요.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2,523
등록일 2016.10.21 추천수

0

공격적인 직장폐쇄인 만큼 불법으로 판단됩니다.

-노조법은 노동조합이 쟁의행위를 개시한 이후에만 직장폐쇄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노동조합 쟁의행위로 인해 노사간 균형이 깨지고 오히려 사용자측에 현저히 불리한 압력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이를 방어할 목적에서만 그 범위 내에서 직장폐쇄를 할 수 있다고 해석합니다. 다시 말해 직장폐쇄는 방어적이고 수동적인 성격이어만 그 정당성이 인정됩니다.(대법원 2000.5.26.선고 98다34331판결)

-판례를 보면 노동조합의 준법투쟁 3일만에 단행된 직장폐쇄 위법성을 인정한 경우 (위 판결),노동조합의 회사 로비점거 하루 만에 행해진 직장폐쇄를 위법하다고 본 사례(대법원 2004.11.12.선고 2004도4745판결)등이 있습니다.

- 그럼 노동조합이 파업을 중단하고 직장복귀 의사를 밝혔음에도 직장폐쇄를 유지하는 것은 적법할까요. 노조법은 직장폐쇄 돌입가능 시점만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파업 중단 의사를 밝혔음에도 직장폐쇄를 지속하는 것은 직장폐쇄의 대항성과 방어성 요건을 상실해서 위법하다고 봐야 합니다.(대전지법 1995.2.9.선고 93가합566판결)대항성과 방어성은 직장폐쇄의 개시 요건일 뿐만 아니라 유지 요건으로도 해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창원지법2008.4.22선고2006가단71536판결,서울남부지법2007.4.11선고 2006노 1679판결)

- 공격적인 직장폐쇄가 노동조합의 단결력을 붕괴시킬 목적으로 단행됐거나 단지 파업을 무력화하는 수단으로 행해진 것이라면 노동조합에 대한 지배.개입으로 부당노동행위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 정당한 직장폐쇄라면 직장을 점거중인 조합원들에게 퇴거를 요구할 수 있고 이에 불응할 경우 퇴거불응죄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노동조합 사무실 등 노동조합 활동과 관련한 시설이나 평소에도 통제되지 않는 식당.기숙사.복리후생시설 등의 장소는 폐쇄할 수 없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 참고로 법원은 사업장 전면 폐쇄뿐 아니라 일부 폐쇄 또는 파업참여 조합원들에 대해서만 행하는 직장폐쇄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직장폐쇄의 본래 취지가 노동조합 파업기간 중 비조합원에 대해서도 사용자의 급여지급 의무를 면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라는  점에 비춰보면 이해하기 어려운 해석입니다.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19 대법원 아파트경비원 '고무줄 해고' 관행 제동 핫 관리자 2,815 2017.12.04
118 외국인근로자가 기간제법 적용대상인지 여부 핫 관리자 3,028 2017.11.30
117 출산전후휴가기간 최초 60일에 대한 급여 지급 범위( 2015-06-09, 질의회시/여성고용정책과-1644/고용노동부.. 핫 관리자 2,563 2017.11.21
116 2018부터 버스, 자가용, 자전거, 도보출퇴근 사고도 산재(산재보험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핫 admin 2,622 2017.11.06
115 산업재해 은폐 시 형사처벌 핫 관리자 2,336 2017.10.24
114 뉴스에서 이슈가된 통상임금의 해석 핫 관리자 2,375 2017.10.20
113 소음작업장에서 퇴사한 때로부터 훨씬 후에 소음성 난청 진단을 받은 경우 장애급여 신청 가능 여부 핫 관리자 2,396 2017.10.16
112 직원과의 다툼으로 인하여 사망한 경우 업무상 재해 인정 여부.(대법원 2017.4.27. 선고 2016두55919 판.. 핫 관리자 2,237 2017.10.10
111 정부는 2033년까지 정년 65세로 늘린다는... 연내 가이드라인 마련. 핫 관리자 9,687 2017.09.18
110 2017년 9월부터 육아휴직 첫 3개월 월 최대 150만원 지급 핫 관리자 2,316 2017.09.15
109 여러 개의 사업장을 옮겨 다니며 근무한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의 인정 사건 핫 관리자 2,334 2017.09.12
108 매년 11개월의 근로계약을 반복하는 기간제근로자의 퇴직금 지급 여부(퇴직연금복지과- 3814,2015-11-04) 핫 관리자 2,610 2017.09.01
107 사용자의 안전보호의무 및 안전배려의무 위반에 따른 불법행위책임이 인정되므로 업무상재해에 따른 근로자의 정신적 손해를 .. 핫 관리자 3,021 2017.08.30
106 4대 보험 가입기간이 1년 이상만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 핫 관리자 2,536 2017.08.23
105 최저임금에 관련된 이슈 정리 핫 관리자 2,790 2017.08.18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