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 사건[부당노동행위구제재심판정취소]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2,041
등록일 2018.02.14 추천수

0

판시사항

노동조합 및 노동조합관계조정법(이하'노동조합법'이라고 한다)각 규정에 의하면,근로자는 자유로이 노동조합을 조직하거나 이에 가입할 수 있고(제5조),노동조합은 조합원을 위하여 사용자에게 단체교섭을 요구할 수 있으나(제29조1항),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 단위에서 노동조합이 그 조직형태와 관계없이 2개 이상 병존하는 경우 각 노동조합은 원칙적으로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에 따라 교섭대표노동조합을 정하여 사용자에게 단체교섭을 요구하여야 한다(제29조의2 제1항본문).
노동조합이 이처럼 복수 노동조합에 대한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를 도입하여 단체교섭 절차를 일원화하도록 한것은, 복수 노동조합이 독자적인 단체교섭권을 행사할 경우 발생할 수도 있는 노동조합 간 혹은 노동조합과 사용자 간 반목. 갈등. 단체교섭의 효율성 저하 및 비용 증가 등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단체교섭체계를 구축하는 데에 그 주된 취지 내지 목적이 있다(헌법재판소 2012.4.24.선고2011헌마338결정참조).
한편 노동조합법(제29조의2 제2항 내지 제8항) 및 그 위임에 따른 시행령(제14조의2 내지 제14조의9)은 교섭창구 단일화를 위한 세부 절차를 규정하고 있는데,이는 크게 복수 노동조합 중에서 실제로 단체교섭에 참여하려는 노동조합을 특정하는 교섭요구노동조합 확정 절차와 그러한 복수 교섭요구노동조합 중에서 다시 교섭대포노동조합을 결정하는 교섭대표노동조합 확정 절차로 구성된다.

아울러 노동조합법 시행령(14조의10)은 교섭대표노동조합의 지위 유지 기간을 정하면서 이러한 지위 유지 기간을 보장받는 교섭대표노동조합이 되는 경우를,1)모든 교섭요구노동조합이 자율적으로 교섭대표노동조합을 정한 경우(노동조합법 제29조의2 제2항),2)교섭요구노동조합의 전체 조합원 중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거나 2개 이상의 노동조합이 위임.연합 등의 방법으로 그 전체 조합원의 과반수가 되는 경우(노동조합법 제29조의2 제3항),3)교섭요구노동조합이 자율적으로 공동교섭대표단을 구성하는 경우(노동조합법 재29조의2 제4항),4)노동위원회가 노동조합의 신청에 따라 조합원 비율을 고려하여 공동교섭대표단을 결정하는 경우(노동조합법 제29조의2 제5항)로 한정하여 명시하고 있다.

이에 비추어 보면,교섭창구 단일화 제도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한 복수 노동조합이 교섭요구노동조합으로 확정되고 그 중에서 다시 모든 교섭요구노동조합을 대표할 노동조합이 선정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예정하여 설계된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노동조합법 규정에 의하면,교섭창구 단일화 절차를 통하여 결정된 교섭대표노동조합의 대표자는 모든 교섭요구노동조합 또는 그 조합원을 위하여 사용자와 단체교섭을 진행하고 단체협약을 체결할 권한이 있다(제29조2항).
그런데 해당 노동조합 이외의 노동조합이 존재하지 않아 다른 노동조합의 의사를 반영할 만한 여지가 처음부터 전혀 없었던 경우에는 이러한 교섭대표노동조합의 개념이 무의미해질 뿐만 이니라 달리 그 고유한 의의(意義)를 찾기도 어렵게 된다.
결국 위와 같은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의 취지 내지 목적,교섭창구 단일화 제도의 체계 내지 관련 규정의 내용,교섭대표노동조합의 개념 등을 종합하여 보면,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 단위에서 유일하게 존재하는 노동조합은,설령 노동조합법 및 그 시행령이 정한 절차를 형식적으로 거쳤다고 하더라도,교섭대표노동조합의 지위를 취득할수 없다고 해석함이 타당하다.

⇒노동조합인 피고보조참가인이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를 진행하여 사용자인 원고와 단체교섭을 하고 단체협약을 체결할 당시 해당 사업장에 존재하던 노동조합은 피고보조참가인이 유일하였으므로 피고보조참가인은 교섭대표노동조합의 지위에 있지 아니하여 교섭대표노동조합 지위 유지 기간을 보장받을 수 없다고 본 사례.(대법원 2017.10.31. 선고 2016두36956 판결)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27 '뇌심혈관계질환' 산재 재심사 길 열렸다.- 개정된 만성과로 인정기준 고시로 재심사 가능... 소멸시효 전 재심사 청.. [4] 핫 관리자 1,971 2018.03.06
126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 사건[부당노동행위구제재심판정취소] 핫 관리자 2,041 2018.02.14
125 [임금 및 퇴직금] 미지급 퇴직금 등의 지급을 구하는 원고의 청구에 대하여,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자동채권으로 한 상계.. 핫 관리자 2,207 2018.01.22
124 {해고무효확인}: 상시 4명 이하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의 해고의 요건에 관한 판결 핫 관리자 2,048 2018.01.17
123 2018년도에 달라지는 노동법 제도 핫 관리자 2,120 2018.01.04
122 재계 -노동계 , '최저임금 산입범위' 놓고 충돌 핫 관리자 2,134 2017.12.20
121 신입직원도 1년차에 최대 11일 유급휴가 ...근로기준법 통과.... 핫 관리자 1,949 2017.12.15
120 유급연차휴가가 발생하기 전날 퇴직한 경우 유급연차수당은 발생하지 않는다. 핫 관리자 2,523 2017.12.12
119 대법원 아파트경비원 '고무줄 해고' 관행 제동 핫 관리자 2,732 2017.12.04
118 외국인근로자가 기간제법 적용대상인지 여부 핫 관리자 2,704 2017.11.30
117 출산전후휴가기간 최초 60일에 대한 급여 지급 범위( 2015-06-09, 질의회시/여성고용정책과-1644/고용노동부.. 핫 관리자 2,441 2017.11.21
116 2018부터 버스, 자가용, 자전거, 도보출퇴근 사고도 산재(산재보험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핫 admin 2,533 2017.11.06
115 산업재해 은폐 시 형사처벌 핫 관리자 2,242 2017.10.24
114 뉴스에서 이슈가된 통상임금의 해석 핫 관리자 2,289 2017.10.20
113 소음작업장에서 퇴사한 때로부터 훨씬 후에 소음성 난청 진단을 받은 경우 장애급여 신청 가능 여부 핫 관리자 2,307 2017.10.16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