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뉴스에서 이슈가된 통상임금의 해석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2,289
등록일 2017.10.20 추천수

0

통상임금은 : 정기성. 일률성. 고정성등 3가지 요건을 모두 만족해야합니다.

-지급주기가 월급과 같이 한달이 아닌 2개월 또는 3개월이라도 그 수당이 정기적, 일률적, 고정적이면 통상임금으로 인정됩니다.

'정기성'은 일정간격으로 계속 지급되는 것을 '일률성'은 기술,경력등과 관련해 정해진 조건,기준을 충족한 모든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것을 의미합니다.그리고 '고정성'은 어떤 수당이 특정 업적이나 성과 등과 무관하게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하면 '당연히 받는 것'으로 확정된 것을 뜻합니다

-"일할계산" 안하면 통상임금아냐

대법원은 이미 고정성 기준을 2013년 12월 18일 대법원 전원합의체(2012다 89399)는 "일정근무일수를 채워야만 지급되는 임금은 '근로의 제공' 외에도 '근무일수 충족'이라는 추가 조건이 필요하다"고 하였습니다.

다만 근무일수에 따라 수당의 액수를 '일할계산'해 지급하는 경우 일할계산된 만큼의 금액은 지급이 확정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며 '일할계산'이 되는 수당은 '고정성'을 인정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일할계산'이란 어떤 수당을 수령할 자격이 생기는 단위근무기간(1개월 또는 1주일 등)을 전부 채우지 못했더라도 근무일수에 비례해 수당을 계산해 지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짝수달 말에 상여금을 지급하는 C사에서 일하는 D씨는 4월 말에 300만원의 상여금을 받은 경우를 가정해 보겠습니다. D씨가 다음 상여금 지급일(6월말)에 앞서 5월말에 퇴사힐 경우 상여금의 절반인 150만원을 받았다고 한다면 C사의 이 상여금은 '일할계산'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고정성'이 인정돼 통상임금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A사의 경우 상여금 지급일에 재직하지 않은 근로자에게는 한푼도 주지 않았습니다 상여금 지급일 보다 하루라도 일찍 퇴직한 근로자는 상여금 지급 대상이에서 제외한 겁니다 '일할계산'을 하지 않은 거죠 이에 대법원은 A사의 상여금이 '고정성'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보고 통상임금에서 제외한 판결이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27 '뇌심혈관계질환' 산재 재심사 길 열렸다.- 개정된 만성과로 인정기준 고시로 재심사 가능... 소멸시효 전 재심사 청.. [4] 핫 관리자 1,970 2018.03.06
126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 사건[부당노동행위구제재심판정취소] 핫 관리자 2,040 2018.02.14
125 [임금 및 퇴직금] 미지급 퇴직금 등의 지급을 구하는 원고의 청구에 대하여,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자동채권으로 한 상계.. 핫 관리자 2,207 2018.01.22
124 {해고무효확인}: 상시 4명 이하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의 해고의 요건에 관한 판결 핫 관리자 2,047 2018.01.17
123 2018년도에 달라지는 노동법 제도 핫 관리자 2,120 2018.01.04
122 재계 -노동계 , '최저임금 산입범위' 놓고 충돌 핫 관리자 2,134 2017.12.20
121 신입직원도 1년차에 최대 11일 유급휴가 ...근로기준법 통과.... 핫 관리자 1,949 2017.12.15
120 유급연차휴가가 발생하기 전날 퇴직한 경우 유급연차수당은 발생하지 않는다. 핫 관리자 2,523 2017.12.12
119 대법원 아파트경비원 '고무줄 해고' 관행 제동 핫 관리자 2,732 2017.12.04
118 외국인근로자가 기간제법 적용대상인지 여부 핫 관리자 2,704 2017.11.30
117 출산전후휴가기간 최초 60일에 대한 급여 지급 범위( 2015-06-09, 질의회시/여성고용정책과-1644/고용노동부.. 핫 관리자 2,441 2017.11.21
116 2018부터 버스, 자가용, 자전거, 도보출퇴근 사고도 산재(산재보험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핫 admin 2,533 2017.11.06
115 산업재해 은폐 시 형사처벌 핫 관리자 2,241 2017.10.24
114 뉴스에서 이슈가된 통상임금의 해석 핫 관리자 2,289 2017.10.20
113 소음작업장에서 퇴사한 때로부터 훨씬 후에 소음성 난청 진단을 받은 경우 장애급여 신청 가능 여부 핫 관리자 2,307 2017.10.16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