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승진과 동시에 조합원 자격을 상실했습니다. 승진도 부당노동행위가 될 수있나요.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2,518
등록일 2016.11.21 추천수

0

노동조합 활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인사조치는 앞서 살펴본 불이익취급 유형 중 하나입니다.
 -만약 승진 당사자가 노동조합의 주요 임원이라면 인사발령이 개인의 문제가 아닌 노동조합 전체의 문제이므로 회사의 승진 조치는 부당노동행위가 될 수 있습니다.

-그 노동자가 노동조합의 임원임을 사용자가 알고 있음에도 조합원 자격이 상실되는 승진발령을 했다는 것은,노동조합 활동에 영향을 미칠 의도가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일반 조합원에 대한 승진 인사조치가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인사발령 시기와 노동조합 활동과의 관련성,승진발령의 업무상 필요성,능력의 적격성과 인선의 합리성,회사와 노동조합과의 관계 등 제반 사정을 종합적으로 따져 봐야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인사조치가 해당 노동자의 조합원 자격을 박탈시킬 의도로 행해졌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회사 차원에서는 인사조치가 업무상의 필요성 또는 일반적인 기준에 따른 정기적인 인사조치의 일환으로 이뤄진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노동자의 노동조합 활동을 혐오하거나 노동조합 활동을 방해하려는 의사로 노동조합 조합원인 노동자를 승진시켜서 조합원 자격을 잃게 한 것으로 확인된다면 그 노동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행위로서 부당노동행위가 설립합니다.(대법원1998.12.23. 선고 97누 18035판결)

- 증명하기가 쉽지 않은 만큼 현실적으로 부당노동행위로 인정되는 경우는 드문 편입니다.노동조합 조합원으로서의 권리와 사용자의 인사권이 충돌하는 경우 법원과 고용노동부는,노동조합활동에 심각한 위축을 초래하는 것이 아니라면 대체로 사용자 인사권을 존중해야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기도 하므로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27 '뇌심혈관계질환' 산재 재심사 길 열렸다.- 개정된 만성과로 인정기준 고시로 재심사 가능... 소멸시효 전 재심사 청.. [4] 핫 관리자 1,971 2018.03.06
126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 사건[부당노동행위구제재심판정취소] 핫 관리자 2,040 2018.02.14
125 [임금 및 퇴직금] 미지급 퇴직금 등의 지급을 구하는 원고의 청구에 대하여,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자동채권으로 한 상계.. 핫 관리자 2,207 2018.01.22
124 {해고무효확인}: 상시 4명 이하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의 해고의 요건에 관한 판결 핫 관리자 2,047 2018.01.17
123 2018년도에 달라지는 노동법 제도 핫 관리자 2,120 2018.01.04
122 재계 -노동계 , '최저임금 산입범위' 놓고 충돌 핫 관리자 2,134 2017.12.20
121 신입직원도 1년차에 최대 11일 유급휴가 ...근로기준법 통과.... 핫 관리자 1,949 2017.12.15
120 유급연차휴가가 발생하기 전날 퇴직한 경우 유급연차수당은 발생하지 않는다. 핫 관리자 2,523 2017.12.12
119 대법원 아파트경비원 '고무줄 해고' 관행 제동 핫 관리자 2,732 2017.12.04
118 외국인근로자가 기간제법 적용대상인지 여부 핫 관리자 2,704 2017.11.30
117 출산전후휴가기간 최초 60일에 대한 급여 지급 범위( 2015-06-09, 질의회시/여성고용정책과-1644/고용노동부.. 핫 관리자 2,441 2017.11.21
116 2018부터 버스, 자가용, 자전거, 도보출퇴근 사고도 산재(산재보험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핫 admin 2,533 2017.11.06
115 산업재해 은폐 시 형사처벌 핫 관리자 2,242 2017.10.24
114 뉴스에서 이슈가된 통상임금의 해석 핫 관리자 2,289 2017.10.20
113 소음작업장에서 퇴사한 때로부터 훨씬 후에 소음성 난청 진단을 받은 경우 장애급여 신청 가능 여부 핫 관리자 2,307 2017.10.16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