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사갈등으로 노조위원장이 무단결근을 했습니다. 이를 이유로 회사가 위원장을 해고하면 부당노동행위인가요.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2,367
등록일 2016.11.15 추천수

0

♦무단결근이라는 징계사유가 있다 해도 실질적으로는 노동조합위원장이기 때문에 해고한 것이라면 부당노동행위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불이익취급 부당노동행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조합원의 정당한 노동삼권 행사와 사용자의 불이익취급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어야 합니다. 즉 노동조합 활동을 이유로 해서 사용자가 불이익한 취급을 해야 불이익취급 부당노동행위가 됩니다.

- 문제가 되는 것은 사용자가 불이익한 처분을 할 만한 사유가 존재하면서 한편으로는 그 처분에 부당노동행위 의사를 추정할 만한 사유도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질문의 사례도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사실 판단이 쉽지 않습니다.

  - 법원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 사용자측이 내세우는 징계 사유와 노동자가 한 정당한 노동조합 활동의 내용을 살펴봅니다. 그런 다음 노사관계가 어떠했는지 봅니다. 징계를 한 시기도 노사관계와 연계해 따집니다. 아울러 유사한 사례에서 조합원과 비조합원에 대한 제재에 불균형이 있었는지 불이익처분 후 조합원들의 노동조합 탈퇴 등 노동조합 활동에 일정한 쇠퇴와 약화가 있었는지도 판단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나아가 사용자의 조합원에 대한 언동이나 태도등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 의사가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는 제반 사정을 비교 검토해서 종합적으로 판단을 합니다(대법원 2006.9.8 선고 2006도388판결)

 - 결론적으로 사용자가 노동자에 대해 해고 등의 불이익한 처분을  함에 있어 표면상의 사유와는 달리 실질적으로는 노동자가 노동조합 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를  한 것을 이유로 그러한 처분을 한 것이 인정된다면  부당노동행위인것입니다.(대법원 2008.1.24.선고 2007도6861 판결) 

- 하지만 법원과 노동위원회는 대체로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 의사가 일부 추정되더라도 징계사유의 정당성이 인정된다면 부당노동행위는 아니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예컨데 근기법상 정당한 처분이라면 노조법상 부당노동행위 성립 여부는 따지지 않는 경향을 보입니다. 부당노동행위 제도는 노동삼권을 침해하는 행위를 부당노동행위로 보고, 이를 배제.시정해 정상적인 노사관계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대법원 2010.3.25.선고 2007두8881 판결) 

- 징계사유가 있더라도 노동자의 노동조합 활동이 없었더라면 사용자의 불이익처분도 없었을 것이라도 판단되는 경우에는 불이익취급 부당노동행위로 인정하는 것이 제도 취지에 부합한다고 하겠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27 '뇌심혈관계질환' 산재 재심사 길 열렸다.- 개정된 만성과로 인정기준 고시로 재심사 가능... 소멸시효 전 재심사 청.. [4] 핫 관리자 1,972 2018.03.06
126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 사건[부당노동행위구제재심판정취소] 핫 관리자 2,043 2018.02.14
125 [임금 및 퇴직금] 미지급 퇴직금 등의 지급을 구하는 원고의 청구에 대하여,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자동채권으로 한 상계.. 핫 관리자 2,207 2018.01.22
124 {해고무효확인}: 상시 4명 이하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의 해고의 요건에 관한 판결 핫 관리자 2,048 2018.01.17
123 2018년도에 달라지는 노동법 제도 핫 관리자 2,123 2018.01.04
122 재계 -노동계 , '최저임금 산입범위' 놓고 충돌 핫 관리자 2,138 2017.12.20
121 신입직원도 1년차에 최대 11일 유급휴가 ...근로기준법 통과.... 핫 관리자 1,951 2017.12.15
120 유급연차휴가가 발생하기 전날 퇴직한 경우 유급연차수당은 발생하지 않는다. 핫 관리자 2,524 2017.12.12
119 대법원 아파트경비원 '고무줄 해고' 관행 제동 핫 관리자 2,734 2017.12.04
118 외국인근로자가 기간제법 적용대상인지 여부 핫 관리자 2,707 2017.11.30
117 출산전후휴가기간 최초 60일에 대한 급여 지급 범위( 2015-06-09, 질의회시/여성고용정책과-1644/고용노동부.. 핫 관리자 2,445 2017.11.21
116 2018부터 버스, 자가용, 자전거, 도보출퇴근 사고도 산재(산재보험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핫 admin 2,539 2017.11.06
115 산업재해 은폐 시 형사처벌 핫 관리자 2,242 2017.10.24
114 뉴스에서 이슈가된 통상임금의 해석 핫 관리자 2,292 2017.10.20
113 소음작업장에서 퇴사한 때로부터 훨씬 후에 소음성 난청 진단을 받은 경우 장애급여 신청 가능 여부 핫 관리자 2,309 2017.10.16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