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뉴스에서 이슈가된 통상임금의 해석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2,258
등록일 2017.10.20 추천수

0

통상임금은 : 정기성. 일률성. 고정성등 3가지 요건을 모두 만족해야합니다.

-지급주기가 월급과 같이 한달이 아닌 2개월 또는 3개월이라도 그 수당이 정기적, 일률적, 고정적이면 통상임금으로 인정됩니다.

'정기성'은 일정간격으로 계속 지급되는 것을 '일률성'은 기술,경력등과 관련해 정해진 조건,기준을 충족한 모든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것을 의미합니다.그리고 '고정성'은 어떤 수당이 특정 업적이나 성과 등과 무관하게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하면 '당연히 받는 것'으로 확정된 것을 뜻합니다

-"일할계산" 안하면 통상임금아냐

대법원은 이미 고정성 기준을 2013년 12월 18일 대법원 전원합의체(2012다 89399)는 "일정근무일수를 채워야만 지급되는 임금은 '근로의 제공' 외에도 '근무일수 충족'이라는 추가 조건이 필요하다"고 하였습니다.

다만 근무일수에 따라 수당의 액수를 '일할계산'해 지급하는 경우 일할계산된 만큼의 금액은 지급이 확정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며 '일할계산'이 되는 수당은 '고정성'을 인정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일할계산'이란 어떤 수당을 수령할 자격이 생기는 단위근무기간(1개월 또는 1주일 등)을 전부 채우지 못했더라도 근무일수에 비례해 수당을 계산해 지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짝수달 말에 상여금을 지급하는 C사에서 일하는 D씨는 4월 말에 300만원의 상여금을 받은 경우를 가정해 보겠습니다. D씨가 다음 상여금 지급일(6월말)에 앞서 5월말에 퇴사힐 경우 상여금의 절반인 150만원을 받았다고 한다면 C사의 이 상여금은 '일할계산'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고정성'이 인정돼 통상임금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A사의 경우 상여금 지급일에 재직하지 않은 근로자에게는 한푼도 주지 않았습니다 상여금 지급일 보다 하루라도 일찍 퇴직한 근로자는 상여금 지급 대상이에서 제외한 겁니다 '일할계산'을 하지 않은 거죠 이에 대법원은 A사의 상여금이 '고정성'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보고 통상임금에서 제외한 판결이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40 중소기업 경영성과급 세액공제 도입 ...최대 50% 핫 관리자 1,877 2018.08.31
139 광복절 등 유급휴무일 노동에 대한 주상한 52시간제 관련 판단(예시) 핫 관리자 1,432 2018.08.14
138 '부당갱신 거절' 기간제근로자 해고기간도 포함.( 대법원 2013다85523 ) 핫 관리자 1,303 2018.07.31
137 2018년도 하반기 달라지는 제도(고용노동부) 핫 관리자 1,174 2018.07.04
136 청년 추가고용장려금 지원 확대, 난임치료휴가 신설. 핫 관리자 1,403 2018.07.02
135 직장 내 성희롱 적용범위 확대 핫 관리자 1,261 2018.05.31
134 입사 이후 2년간의 연차유급휴가보장 확대, 육아휴직 노동자 연차유급휴가 보장 확대 핫 관리자 1,415 2018.05.24
133 수습 사용기간을 6개월로 정한 취업규칙에 따라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수습 사용 기간이 3개월을 초과하여 6개월 이내인 .. 핫 관리자 1,535 2018.05.04
132 정년이 지난 기간제 근로자에게도 근로계약 갱신기대권이 인정된다. 핫 관리자 1,709 2018.04.24
131 초등학교 입학기 아동부모, 10시출근 시에도 정부지원 - 모든노동자 대상, 선택근무제 장려금 지원요건 완화. 핫 관리자 1,614 2018.04.23
130 산재보험 유족. 장애 급여 신청기간 3년에서 5년으로... 부정수급자 명단공개. 핫 관리자 1,956 2018.04.04
129 상여금, 근속수당, 교육보조비, 식대보조비, 식대, 교통비, 목욕비, 반장수당이 통상임금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사례 핫 관리자 1,498 2018.03.28
128 근로자의 명예퇴직은 사용자의 승인 없이는 성립할 수 없다. 핫 관리자 1,968 2018.03.08
127 '뇌심혈관계질환' 산재 재심사 길 열렸다.- 개정된 만성과로 인정기준 고시로 재심사 가능... 소멸시효 전 재심사 청.. [4] 핫 관리자 1,948 2018.03.06
126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 사건[부당노동행위구제재심판정취소] 핫 관리자 2,012 2018.02.14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