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비정규직 근로자의 상시 조기출근에 대하여 연장근로수당을 인정한 사례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3,028
등록일 2017.05.18 추천수

0

⟨ 판시사항⟩

- 원고의 주장 : 원고는  피고 운영의 마트에서 제과제빵팀 소속 계약직 근로자로 근무해왔는데, 2012년.7.1.경부터 2014.12.31.까지 근로계약의 근무시간보다 1시간씩 먼저 출근하였다고 주장하면서, 이에 대한 연장근로수당으로서 10,315,047원의 지급을 청구.

- 일부 인용 판결 : 원고가 1시간씩 먼저 출근한 사실을 인정하였으나, 임금채권의 소멸시효(3년)을 고려하여 2013년 2월 이후 부분인 7,915,287원에 대해서만 지급 의무를 인정

제2조(계약기간 및 재계약)

계약기간은 2014.1.1.부터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하는것으로 한다.

제5조(근무시간과 휴게시간)

1)근로자의 근무시간은 09:00~18:00까지 1일 8시간 주 40시간을 원칙으로 한다.

3)업무상 부득이한 겨우에는 제1항과 제2항에도 불구하고 시업시각과 종업시각 및 휴게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4) 사업주(자사무소장 포함)는 필요한 경우에는 시간외근무와 휴일근무를 명할 수 있으며, 근로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에 따라야 한다.

제9조(임금)

1)근로자의 임금은 연간총액임금 23,760,000원으로 하여 규정에 따라 계산하여 지급하며, 특별성과급, 연차휴가보상금, 초과근무수당 및 퇴직금은 연간총액임금에 포함되지 아니한다.
2)임금은 매월 21일(토요일 또는 휴일일때에는 순차적으로 그 전일)에 지급한다.
 
 
(출처: 창원지방법원 김해시법원 2016.10.20. 선고 2016가소 2735 판결)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49 중앙행정심판위, "가족이라도 노동 제공하고 임금 받으면 근로자" 핫 관리자 1,285 2018.11.20
148 실업급여 지원 신청 , 앞으로 근로자도 가능. 핫 관리자 1,601 2018.11.09
147 "무급휴가를 써라" 사용자의 강요에 집단 퇴사했다가 ...억대 소송당한 텔레마케터들... 핫 관리자 1,503 2018.11.08
146 갑질횡포의 대응방법 산업안전보건법[법률제15588호,20118.17 일부개정] [시행.10.18] 핫 관리자 1,344 2018.10.26
145 1년차에 유급휴가를 사용하지 않은 근로자의 2년차 유급휴가일수 산정 방법. 핫 관리자 1,596 2018.10.18
144 노동조합 대표자가 내부 절차를 전혀 거치지 아니한 채 사용자와 단체협약을 체결하였음을 이유로 노동조합 대표자 등에 대.. 핫 관리자 1,109 2018.09.27
143 고용지원금 거짓 수급하면 이렇게 ...법원 "3배 반환" 판결 핫 관리자 1,185 2018.09.19
142 노동부, 사업장 휴게시설 설치. 운영가이드 마련 핫 관리자 1,240 2018.09.11
141 법원, "지입차주, 지시받고 일하면 '근로자"...산재 인정 핫 관리자 1,284 2018.09.04
140 중소기업 경영성과급 세액공제 도입 ...최대 50% 핫 관리자 2,028 2018.08.31
139 광복절 등 유급휴무일 노동에 대한 주상한 52시간제 관련 판단(예시) 핫 관리자 1,565 2018.08.14
138 '부당갱신 거절' 기간제근로자 해고기간도 포함.( 대법원 2013다85523 ) 핫 관리자 1,403 2018.07.31
137 2018년도 하반기 달라지는 제도(고용노동부) 핫 관리자 1,281 2018.07.04
136 청년 추가고용장려금 지원 확대, 난임치료휴가 신설. 핫 관리자 1,506 2018.07.02
135 직장 내 성희롱 적용범위 확대 핫 관리자 1,394 2018.05.31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