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로케이션
» Home > 노동상담 > 법원 판례 및 노동위 판정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노동법 판례 상세보기
근로기준법상 소멸시효에 대하여...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1,691
등록일 2019.04.08 추천수

0


♦소멸시효란? 일정한 기간 동안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사실 상태가 계속 되는 경우에 그 상태가 진실한 권리관계에 합치되지 않더라도 그 사실관계를 인정하려는 제도다.

즉, 일정한 기간동안 권리행사를 하지 않는 경우에 시효의 완료로 인해 더 이상 권리행사를 하지 않는 경우에 시효의 완료로 인해 더 이상 권리행사를 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소멸 시효를 두는 이유는 행사하지 않는 권리를 제한해 법적 안정을 꾀하고 신속한 권리관계 설정을 촉진하기 위함이다.

근로기준법도 근로자 보호를 위해 권리행사 불이행에 대한 소멸시효 제도를 두고 있다.

임금채권 소멸시효는 3년으로 짧기 때문에 소멸시효 만료로 인해 청구 가능한 임금 체불금이 점점 줄어든다. 특히 고용노동부의 진정 및 고소 단계에는 임금체불에 대한 시효의 중단이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데 있어 민사적 절차인 재판상 청구를 해야 한다

다시 말해 근로감독관이 임금이 체불된 근로자와 해당 사용자를 확정하는 노동청의 진정,또는 고소 단계는 소멸시효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에 반해 산재보상의 청구는 업무상 재해 보상에 있어 재판상 청구로 인정 받기때문에 이에 따른 청구권의 소멸 시효도 5년으로 연장된다.

근로자를 위한 동일한 특별법임에도 불구하고 근로기준법과 산업재해보상법은 소멸시효의 중단과 기간에 차이를 두고 있다. 이와 관련된 근로기준법상의 권리 행사를 할 수 있음에도 해당기간 동안 그 권리를 행사하지 않아 시효가 경과해 더 이상 권리행사를 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법은 권리위에 잠자는 자를 보호하지 않는다는 원칙이 적용된다.
이는 행사할 수 있는 권리는 있지만 일정기간 동안 권리행사를 하지 않는 경우 이를 못하게 함으로써 이미 형성된 법적 평온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는 것이다.
노동법상 대부분의 소멸시효는 3년을 기준으로 한다.

근로기준법상 소멸시효와 유사한 개념이 제척기간이다. 제척기간이 지나면 더 이상 법적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제척기간은 법률관계의 신속한 확정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소멸시효와 그 기간에 있어 차이가 있다.

소멸시효의 내용

1)근로기준법상 임금채권
임금채권은 3년간 행사하지 않으면 시효로 소멸한다(근기법제94조)
임금채권은 월 급여, 퇴직금, 미사용연차수당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유형별 소멸시효 기산점이 다르다. 매월 지급되는 월 임금(기본급, 연장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등)은 임금지급일에 지급의무가 발생하고, 이때부터 권리를 행사할 수 있으므로 기산점을 정기지급일부터 진행된다. 상여금은 상여금에 관한 권리가 발생할 때 지급의무가 발생하며 퇴직금은 근로자가 퇴직한 날 지급 의무가 발생하므로 퇴직일로부터 기산한다.

2018년 입사자의 경우 2019년 1월1일부터 2019년 12월31일까지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경우에 한해 15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한다
다음 연도인 2020년 1년 동안 연차휴가를 사용해야 한다. 2021년 1월 1일부터 미사용 연차휴가에 대한 청구권의 기산점이 되며 이는 3년간 청구가 가능하다(근기법 제36조. 제60조)

2)산재법상 보상급여

산재법은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에 대해 권리를 3년간 행사하지 않으면 시효로 말마암아 소멸한다. 다만 장애급여, 유족급여, 장의비, 진폐보상연금, 및 진폐유족 연금을 받을 권리는 5년간 행사하지 않으면 시효의 완성으로 보아 소멸한다.(시행 2018.12.13 법률제 15665호 2018.6.12일부 개정)

산재법의 보험급여는 다음의 세가지로 나눠볼수 있다.

1)계속적보험급여의 청구.
2)일시금보험급여의 청구
3)연금보험급여 이렇게 세가지의 형태로 청구하며 각각 소멸 시효의 기산점이 다르다.






 

  • 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 트위터로 글 보내기

노동법 판례 코멘트 쓰기

코멘트 쓰기
답글달기 상태입니다. 답글달기를 취소하고자 할 경우 위의 취소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쓰기
  • 목록
  • 인쇄
  • 수정
  • 삭제

노동법 판례 목록

노동법 판례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179 정당한 연차휴가 신청 후 출근하지 않은 철도 기관사에게 이를 이유로 경고처분한 것은 부당하다.(2019-5030 서울.. 핫 관리자 953 2019.08.21
178 주민자치센터 시설자원봉사자를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사례(2019-05-30, 대법원 선고 2017두.. 핫 관리자 1,153 2019.08.07
177 7월부터 자영업자 프리랜서도 출산급여 받는다. -고용보험 미적용자도 출산휴가급여 지급 , 하반기에 2만5천명 출산여성.. 핫 관리자 1,092 2019.07.08
176 연차휴가가 반려되자 무단결근한 근로자를 사측이 징계한 것은 부당(2019-4-4 서울고법선고 2018누57171 .. 핫 관리자 1,058 2019.07.04
175 수습기간이 지나서도 계속 업무지시를 받고 근무한 근로자를 오로지 수습평가 경과만을 이유로 해고할 수 있는지 여부 핫 관리자 1,000 2019.07.02
174 일용근로자 계속근로기간 산정(2013-11-29, 근로복지과-4042) 핫 관리자 1,302 2019.07.01
173 사용자의 안전보호의무 및 안전배려의무 위반에 따른 불법행위책임이 인정되어 업무상 사고로 인한 근로자의 정신적 손해를 .. 핫 관리자 1,012 2019.06.21
172 포괄임금제와 연장근로(고정OT) 사전합의 유의사항 핫 관리자 2,237 2019.06.14
171 근로자가 자살행위로 인하여 사망한 경우, 업무와 사망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대법원 선고.. 핫 관리자 1,134 2019.06.11
170 [재직자 조건, 임금채권 포기 강요?] 흔들리는 대법원 전원합의체 '통상임금 재직자 조건' 판례 - "정기고정급 재.. 핫 관리자 1,122 2019.05.28
169 건설공사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청소, 경비, 운전업무가 파견금지 업무인지 여부.(2012.-06-27. 고용차별개선과) 핫 관리자 1,266 2019.05.20
168 특별근로감독 (TV 드라마 : 특별근로감독관 조장풍은 있는가?) 요건은? 핫 관리자 1,036 2019.05.08
167 워킹맘에 대한 배려없이 수습계약 종료 후 본채용 거부통보는 위법하다고 판단한 사례 핫 관리자 1,021 2019.05.03
166 근로기준법상 소멸시효에 대하여... 핫 관리자 1,691 2019.04.08
165 근로자의 명절, 법정공휴일, 근로자의 날 휴무나 급여계산은 어떻게 하나? 핫 관리자 1,580 2019.04.03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비밀번호
확인
취소
게시판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선택
확인
취소
신고사유를 선택하세요.
확인
취소
T o p